2025년 7월, 엔비디아는 신제품 GB300 출하 본격화와 글로벌 AI 인프라 투자 확대를 바탕으로 FY26~27 실적 전망이 상향되며, 미래에셋증권은 목표주가를 $214로 23% 상향했습니다. 특히 데이터센터 매출 비중 90% 이상, TSMC·CoreWeave·Alphabet 등 공급망 강세, 중국향 H20 재승인까지 겹치며, AI 반도체 독점적 지위가 강화되고 있어요
.
이번 글에서는 엔비디아의 실적 전망, 공급망 동향, 경쟁사 비교, 투자 전략을 전문가 관점에서 정리해드립니다.
🗂️ 목차
- GB300 출하 본격화와 공급망 강세
- FY26~27 실적 전망 상향 요인
- 글로벌 AI Capex 사이클과 수혜 구조
- 경쟁사 대비 수익성·밸류에이션 비교
- 투자 전략과 마무리 인사이트
- 면책조항
🚀 GB300 출하 본격화와 공급망 강세
공급망 | 동향 | 시사점 |
TSMC | HPC향 매출 QoQ +13.2% / CoWoS 매출 +28.4% | GB300 패키징 수요 강세 |
CoreWeave | GB300 NVL72 랙 서비스 개시 | AI 전용 클라우드 수요 확대 |
대만 ODM 4사 | 월별 매출 QoQ 평균 +28% | 서버 랙 출하량 증가 |
Alphabet | Capex $75B → $85B 상향 |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
GB300은 AI 서버 ODM·클라우드·패키징·파운드리 전방 수요가 동시 증가하며 엔비디아 공급망 전반의 실적 개선을 견인하고 있어요.
📈 FY26~27 실적 전망 상향 요인
항목 | FY26F | FY27F | 변경률 |
매출액 | $208B | $270B | +10.2% / +10.5% |
영업이익 | $123B | $165B | +12.6% / +11.4% |
EPS | $4.38 | $5.80 | +48.9% / +32.6% |
GPM | 70.7% | 72.2% | 고마진 유지 |
- 데이터센터 비중 90% 이상 → 고성장·고마진 구조
- 중국향 H20 판매 재개 → 수출 제한 완화
- 소버린 AI·엔터프라이즈 수요 확대 → FY27 성장 견인
엔비디아는 단일 제품(GPU) 중심이지만, 수요처 다변화로 실적 안정성 확보 중입니다.
🌐 글로벌 AI Capex 사이클과 수혜 구조
기업 | 2025F | Capex2026F 전망 | 특징 |
Microsoft | $92B | $94B | Intelligent Cloud 중심 |
AWS | $65B | $83B | AI 인프라 확대 |
Alphabet | $85B | $88B | GB300 수요처 |
Meta | $66B | $75B | AI 모델 훈련 강화 |
Apple | $12B | $14B | 상대적 보수적 |
- 2025~2027 Capex CAGR +10.7% → 엔비디아 수요 지속
- Capex/Internet Sales 비율 58.7% → 54.5% → 고정비 부담 완화
- TSMC HPC 매출 비중 60% 도달 → AI 칩 수요 집중
엔비디아는 글로벌 빅테크의 Capex 사이클과 직접 연동되는 구조적 수혜 기업입니다.
⚔️ 경쟁사 대비 수익성·밸류에이션 비교
기업 | FY26F OPM |
FY26F ROE |
FY26F P/E |
NVIDIA | 59.2% | 76.2% | 40.4x |
AMD | 28.2% | 13.6% | 28.5x |
Intel | 9.0% | 2.5% | 31.3x |
Broadcom | 64.2% | 38.7% | 35.7x |
TSMC | 46.7% | 29.5% | 29.5x |
SK하이닉스 | 44.2% | 31.3% | 5.2x |
엔비디아는 수익성·성장률·ROE 모두 업계 최고 수준이며, P/E 40.4배는 프리미엄이지만 정당화 가능한 수준입니다.
💰 투자 전략과 마무리 인사이트
✅ 투자 전략
- 단기 전략: GB300 출하 확대 → 실적 발표 전 선제 진입
- 중기 전략: FY26~27 실적 가속화 → EPS 기반 리레이팅
- 장기 전략: 소버린 AI·엔터프라이즈 수요 확대 → 구조적 성장 베팅
지금은 AI 인프라 투자와 실적 가속화가 교차하는 전략적 매수 타이밍입니다.
📄 면책조항
본 콘텐츠는 2025년 7월 기준으로 미래에셋증권의 리서치 리포트 및 공개된 시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된 참고용 투자 정보입니다. 엔비디아의 실적 및 주가 흐름은 AI 수요, 공급망, 정책 변화 등 외부 변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투자 판단은 반드시 개인의 투자 성향과 전문가 상담을 통해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본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가 아니며, 법적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재테크 및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7월 글로벌 금융시장 전략|FOMC 불확실성과 실적 모멘텀의 교차점 (4) | 2025.07.31 |
---|---|
🌍 2025년 하반기 글로벌 에너지 투자 전략|미국-EU 무역 합의와 LNG 수혜 구조 분석 (6) | 2025.07.31 |
🛍️ 2025년 하반기 소비재 시장 전망|소비심리 반등과 소비쿠폰 효과 분석 (6) | 2025.07.31 |
🌐 2025년 7월 글로벌 금융시장 분석|FOMC 금리 동결과 무역 협상 진전 속 증시 최고치 경신 (6) | 2025.07.31 |
🪙 2025년 하반기 스테이블코인(USDC,USDT) 시장 분석 및 투자전략|미국 GENIUS Act 이후 글로벌 규제와 한국의 대응 전략 (4)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