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분기, LG화학은 화학 부문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ESS 수주 확대와 지분 매각 기대감으로 시장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미국의 보조금 종료를 앞둔 선수요 효과와 중복상장 디스카운트 해소 가능성은 기업가치 재평가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 LG화학 투자 전략
🗂️ 목차
2Q25 실적 요약
LG에너지솔루션(ESS) 모멘텀 분석
자회사 지분 매각 기대와 SOTP 가치 재산정
첨단소재·화학 부문 실적 리뷰
투자 지표 및 목표 주가 분석
결론: “지금은 자회사를 보는 시점이다”
컨텐츠 멱책조항
1. 📊 2Q25 실적 요약
항목
수치
YoY 변화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11조 2,000억 원
-
-
영업이익
4,768억 원
+8%
상회 (4,422억 원)
LG엔솔 제외
180억 원
부진
화학·첨단소재 실적 악화
LG엔솔의 실적이 전체 수익성을 견인했으며, 화학 부문은 관세·환율·수요 둔화로 부진
LG 화학
2. 🔋 LG에너지솔루션(ESS) 모멘텀 분석
3Q25 영업이익 전망: 5,269억 원 (+10.5% QoQ)
ESS 수주 확대 배경: → 미국 ITC/PTC 보조금 종료 전 선수요 → IRA 법안 수혜 지속
LG화학은 본업인 화학·소재 부문에서의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ESS 수주 확대와 지분 매각 기대감으로 기업가치 재평가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지금은 LG화학을 단순한 화학 기업이 아닌, 자회사 가치와 연결 실적을 함께 보는 전략적 시점입니다.
7.⚠️ 콘텐츠 면책조항
본 콘텐츠는 미래에셋증권의 공개 리서치 자료와 시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된 투자 정보 제공용 콘텐츠입니다. 제시된 전망, 수치, 전략은 작성일 기준의 정보에 기반하며, 향후 시장 상황, 정책 변화, 기업 실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본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권유를 의미하지 않으며, 모든 투자 판단과 그에 따른 손익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투자 전에는 반드시 금융 전문가와의 상담을 권장드립니다.